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40조 ‘골든돔’ 우주 미사일 방어 프로젝트, 스페이스X 탈락, 아마존 부상?

by 머니토커2024 2025. 7. 23.
반응형

 

 

얼마 전, 이스라엘과 이란의 싸움 중, 이란의 미사일을 방어하는 이스라엘의 '아이언돔'이 화제였죠?

미국도 이와 비슷한 미사일 방어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바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1,750억달러(초기 예산만)의 ‘골든돔(Golden Dome)’입니다!!!

프로젝트 발표 초기에는 스타링크를 가지고 있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확정적인 파트너로 거론되었는데요,

트럼프가 현재 스페이스X를 배제하고 아마존과 골든돔 프로젝트를 꾸려나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얼마 전, 트럼프-머스크의 갈등으로 트럼프는 스페이스X에 지급되는 보조금을 끊어버리겠다고 공언했지만,

국가 산업에서 스페이스X를 대체할 기업이 없어 무산됐죠?

독보적인 기술을 가진 스페이스X!!

트럼프의 뜻대로 배제 가능할까요?

 

오늘은

골든돔 프로젝트와 이 프로젝트를 이끌어나갈 주요 파트너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트럼프 일런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골든돔 쿠이퍼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스타링크 미사일 방어 프로젝트 미국 우주정책 민국협력 우주군비경쟁 우주항공 우주방위 우주항공방산 기업 갈등 이스라엘 아이언돔
이스라엘 아이언돔, 골든돔은 아이언돔보다 업그레이드된 버전일 거라 기대됩니다.

골든돔 프로젝트란?

쉬운 이해를 위해 얼마 전 화제가 되었던 이스라엘의 아이언돔과 골든돔 프로젝트를 비교해 보자면, 트럼프의 골든돔 프로젝트는 기존의 이스라엘식 아이언돔보다 수십 배 큰 규모로, 우주 기반의 공격까지 막을 수 있는 ‘다차원 방어망’을 목표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지상·해상·우주, 전방위에서 실시간으로 미사일 탐지, 요격, 분석까지 모두 수행하며, 외부 위협으로부터 미국 본토를 절대적으로 방어하는 것이 골든돔 프로젝트의 주요 골자입니다.

골든돔의 핵심 특징

트럼프가 스페이스X를 배제한 핵심 이유 3가지

1. 공급망 집중 리스크

골든돔 발표 초기스페이스X 스타링크(Starlink)를 통한 방대한 위성망, 역대 최다 위성 발사 실적, 다수의 국방계약 경험으로 골든돔 프로젝트의 확정적인 파트너로 거론되었습니다.

그때부터 민간인인 한 인물(=머스크) OR 기업이 미군의 통신·감시·데이터 네트워크를 과도하게 장악한다면, 국가 안보가 인질로 잡힐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있었습니다.

2. 개인 간 불화 및 정치적 계산

트럼프와 머스크25년 6월부터 이름도 거창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 OBBBA)'을 사이에 두고 요란하게 갈라섰습니다.

백악관스페이스X를 골든돔 핵심 파트너 명단에서 제외하고, '과도한 의존은 국가위험'이라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으며, 머스크 역시 '스페이스X는 미사일 방어 입찰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고, 인류의 화성 진출에 집중하겠다'라며 골든돔 프로젝트에는 미련 없다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OBBBA가 트럼프-머스크 사이에 갈등의 씨앗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자세한 내용궁금한 분들

아랫글참고해 주세요 :)


3. 기술 및 보안의 다변화 착수

당연히 공급망은 다양하게 갖추는 게 좋겠죠?

극초음속/우주 기반 무기 대응을 위한 AI, 로컬 위성, 사이버보안 분야의 첨단 ‘멀티플레이어 연합군’ 결성을 위해 트럼프 행정부는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이조스와 손잡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마존 막대한 자본을 갖췄음은 물론이고, 데이터 인프라, 클라우드, AI에도 강점을 보이는 IT기업인 점은 분명하지만, 우주산업에서 스페이스X를 대체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트럼프 - 베이조스 동맹의 기술적 쟁점과 논란

- 아마존쿠이퍼는 현재 78기의 위성을 시범운행 중으로, 이미 9,000기 이상의 스타링크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한 스페이스X에게 위성 구축 경험과 규모 면에서 한참 못 미칩니다.

- 아마존이 사이버 공격, 전자전, AI 해킹 등의 최첨단 보안 위협에 대한 실전 대응 역량이 있는지 확인되지 않습니다.

 

트럼프의 골든돔 프로젝트

스페이스X(=머스크)라는 단일 민간기업 의존에서 탈피해, 아마존을 필두로 한 새로운 연합전선을 구축하면서

‘분산형·연합형 우주방위’ 모델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합전선이 과연 수많은 기술과 실전 경험을 보유한 스페이스X를

2029년까지 대체, 극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세계적인 갈등 상황 중에서 갈수록 중요성이 대두되는 '우주방산' 사업

타국의 개발 상황을 잘 지켜보며 한국의 우주방산도 탄탄하게 챙겨야겠습니다. :)

 

반응형